Total 83건

  • 새소식 '코스모스' 번역한 천문학자 홍승수 명예교수 별세

       故 홍승수 물리천문학부 명예교수   한국 천문학계의 대부 홍승수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명예교수가 15일 오후 병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75세. 1944년 서울에서 태어난 홍 교수는 1967년 서울대 천문기상학과를 졸업했다. 1972년 동대학원에서 석사 과정을 수료한 후 미국으로 건너가 1975년 뉴욕주립대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천문학 연구소, 네덜란드 하위헌스 연구소 등지에서 연구하다가 1978년에 서울대 교수로 임용돼 31년간 재직하고 2009년 정년 퇴임했다. 홍 교수는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 국내 번역자로 잘 알려져 있다. 그는 2017년 경향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코스모스> 번역을 끝낸 후 내가 받은 한국 과학교육이라는 것이 무지몽매한 것이었구나라는 걸 느꼈다”라고 했다. 이후 동양고전과 한시를 공부하고, 대중 강연 등 천문학의 대중화 노력에도 적극적으로 나섰다. 한국천문학회 회장, 소남천문학사연구소 소장, 한국천문올림피아드위원회 위원장, 국립고흥청소년우주체험센터 원장 등을 역임한 그는 1992년 과학기술처 장관으로부터 우수 과학 도서 번역상, 2009년 한국천문학회 공로상 등을 받았다. 국내외 학술지와 학술회의 논문집 등에 연구 논문 78편을 발표했다.   대표 저서로는 <나의 코스모스> <하늘을 디디고 땅을 우러르며>가 있다. 한평생 하늘을 올려다보며 우주와 별의 기원을 연구한 천문학자이면서 독실한 천주교 신자였던 그는 이제 ‘코스모스’를 향한 영원한 여행을 떠났다. 빈소는 수원 아주대병원에 마련됐다. 17일 오전 10시 서울 개포동성당에서 장례미사가 진행된다. 장지는 경기도 광탄 가족묘지이다. 원문보기: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904152100005&code=100402#csidx67c2964dcf2e05898c0e045d9dc16bd     ■ 관련기사   ‘코스모스’ 번역한 원로 천문학자 홍승수 서울대 명예교수 별세 [한국일보, 2019/04/16] 우주로 ‘영원한 여행’…홍승수 명예교수 별세 [경향신문/2019/04/16] `코스모스` 번역 원로 천문학자 홍승수 서울대 명예교수 별세[매일경제/2019/04/16] '코스모스' 번역한 천문학자 홍승수 명예교수 별세 [연합뉴스, 2019/04/16] '코스모스’ 번역한 천문학자 홍승수 명예교수 별세…향년 75세 [스포츠경향/2019/04/16]

    2019-04-16

    Read More
  • 연구성과 블랙홀 실제 모습 사상 처음 관측, 서울대 사샤 트리페 교수 참여

      물리천문학부 사샤 트리페(Sascha Trippe) 교수     세계 최초로 초대질량 블랙홀의 증거와 모습이 공개됐다. EHT 연구진은 전 세계 협력에 기반한 8개의 전파망원경을 연결한 사건지평선망원경(이하 EHT, Event Horizon Telescope)으로 초대질량 블랙홀 관측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EHT 공동 연구진에는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 북미와 남미로부터 모인 200명이 넘는 연구자들이 소속되어 있으며, 한국 참여기관은  천문연, UST, 서울대, 연세대(손봉원: 겸임교수) 등 총 4곳 이며, 서울대학교에서는 물리천문학부 사샤 트리페(Sascha Trippe) 교수가 참여했다.     □ 관련 보도자료   사상 최초로 실제 블랙홀 영상 얻는 데 성공 [한국천문연구원, 2019/4/11]   □ 관련 기사      인류 첫 블랙홀 관측 "일반상대성 이론, 극단적 중력서 증명 [뉴시스1, 2019/04/11]     ‘블랙홀’ 실체 사상 최초 관측…‘지구 크기’ 가상 망원경 동원 [KBS, 2019/04/11]     사상 첫 블랙홀 모습 공개…한국 연구진도 참여 [연합뉴스, 2019/04/11]     블랙홀 영상 한국 연구진 “고리 하나가 이렇게 사람들을…”  [한겨레, 2019/04/11]  

    2019-04-11

    Read More
  • 새소식 물리천문학부 이형목 교수, '제28회 수당상' 수상

       물리천문학부 천문학전공 이형목 교수       물리천문학부 천문학전공 이형목 교수(現 한국천문연구원 원장)가 삼양그룹 수당재단(이사장 김상하 삼양그룹 회장)이 수여하는 '제28회 수당상' 수상자로 선정되었습니다.   올해 수당상 수상자는 3인으로 △기초과학부문 이형목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교수(63) △응용과학부문 권익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책임연구원(60) △인문사회부문 이태진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명예교수(76) 입니다.   이형목 교수는 2009년 한국중력파연구협력단(KGWG)을 이끌고 국제 공동 연구 기관인 미국의 ‘라이고(LIGO) 과학협력단(LSC)’에 정식으로 참여해 2015년 인류 최초의 중력파 검출에 기여하는 등 한국 천문학계의 중력파 연구 발전에 공헌하였습니다.   수당상은 삼양그룹 창업주 수당 김연수 선생의 인재육성 정신을 계승·발전시키기 위해 제정된 상으로, 1973년 수당과학상에서 2006년부터 기초과학·응용과학·인문사회 3개 부문으로 확대 시행되고 있습니다.   제28회 수당상 시상식은 오는 5월 9일 오후 5시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리며 수상자에게는 상패와 함께 1억 원의 상금이 수여됩니다.   □ 관련 기사     삼양그룹 수당賞 이형목·권익찬·이태진 [매일경제 MBN, 2019/04/10]     이태진·이형목 교수·권익찬 연구원, 28회 '수당상' 수상[파이낸셜뉴스, 2019/04/10]

    2019-04-11

    Read More
  • 연구성과 박형욱 학부생, 연구 결과 The Astrophysical Journal 게재 예정

        물리·천문학부 천문학전공 박형욱 학부생 (제 1저자)  물리·천문학부 천문학전공 우종학 교수 (교신저자 / 인턴십 지도교수)     학부생의 연구결과가 최고 수준의 천체물리학 저널에 실린다. 물리·천문학부 천문전공 박형욱 학생(4학년)의 블랙홀 질량에 관한 연구 결과가 전공 분야 가장 우수한 저널 중의 하나인 천체물리학 저널에 논문으로 출판될 예정이다. 박형욱은 2017년에 [자연과학대학 학부생 연구인턴십] 프로그램으로 우종학 교수 연구실에서 연구를 시작했으며, 1년 여간 이어진 연구활동으로 블랙홀 질량 측정법에 관한 새로운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는 우종학 교수 연구팀이 국제 경쟁을 뚫고 확보한 허블우주망원경의 분광 자료를 바탕으로 진행되었으며, 자료분석 및 결과 도출에 핵심적 역할을 한 박형욱 학생이 논문의 제 1저자로 천체물리학 저널에 4월 중 출판 될 예정이다. 우종학 교수는 학부생들이 최상급 저널에 논문을 출판하는 일이 고무적이라고 평했으며, 대학원 진학을 고려하는 학부생들에게 연구경험을 쌓을 기회를 찾으라고 조언했다. ■ 논문 제목: Calibrating MgII–based Black Hole Mass Estimators with Hβ Reverberation Measurements                     (https://iopscience.iop.org/article/10.3847/1538-4357/ab100d/meta) ■ 저널명 : The Astrophysical Journal ■ 저자: Hyeonguk Bahk, Jong-Hak Woo, Daeseong Park 

    2019-04-08

    Read More
  • 새소식 이정훈 교수, 제8회 자연과학대학 우수강의상 수상

      (왼쪽)자연과학대학 이준호 학장, (오른쪽) 물리천문학부 이정훈 교수       물리천문학부 천문학전공 이정훈 교수가  제8회 자연과학대학 우수강의상 을 수상하였습니다.   우수강의상은 전달력이 뛰어난 훌륭한 강의를 통해 수강생들의 학구열을 고취시키고 학업 성취도를 향상시킨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교원에게 수여 됩니다.   시상식은 지난 3월 8일 상산수리과학관 대강당에서 열렸으며, 총 10명의 수상자가 선정되었습니다.   소속학부(과) 직급 성명 수리과학부 조 교 수 서 인 석 강 의 교 수 김 지 영 통계학과 교 수 오 희 석 물리∙천문학부(물리학전공) 강 의 교 수 김 경 태 물리∙천문학부(천문학전공) 교 수 이 정 훈 화학부 강 의 부 교 수 설 지 웅 생명과학부 교 수 이 원 재 교 수 홍 성 욱 지구환경과학부 교 수 이 융 남 조 교 수 심 민 섭

    2019-03-25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