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vious
Next
황호성 교수, 2023학년도 자연과학대학 우수강의상 수상
< (왼쪽) 자연과학대학 유재준 학장, (오른쪽) 물리·천문학부 황호성 교수 > < 수상자 단체사진 > 물리·천문학부(천문학전공) 황호성 교수가 2023학년도 자연과학대학 우수강의상을…
이정은 교수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 다둥이 별의 탄생 비밀을 풀기위한 ALMA 관측과 슈퍼컴퓨터 시뮬레이션의 콜라보
다둥이 별의 탄생 비밀을 풀기위한 ALMA 관측과 슈퍼컴퓨터 시뮬레이션의 콜라보 – 스트리머를 통해 물질을 공급받고 있는 세 쌍둥이 태아별…
황호성 교수가 공동연구자로 참여한 국제공동연구진 암흑에너지가 아인슈타인의 우주상수가 아님을 측정
물리·천문학부 황호성 교수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황호성 교수가 공동 연구자로 참여하고 있는 국제공동연구진은 우주의 가속팽창을 일으키는 암흑에너지가 아인슈타인의 우주상수가 아니라, 시간에…
천문전공 - 후지필름 코리아 업무 협약 체결
2023년 7월 26일,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천문학 전공(이하 천문전공)은 후지필름일렉트로닉이미징코리아 (사장 임훈, 이하 후지필름 코리아)와 업무 협약을 체결하였다. 지난 25일, 천문…
이정은 교수 연구진, 깊게 숨겨진 행성 탄생의 신비, ALMA로 찾다
이정은 교수 연구진, 깊게 숨겨진 행성 탄생의 신비, ALMA로 찾다. □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천문학부의 이정은 교수와 사범대학 지구과학교육과의 권우진 교수가…
관허 코스모스홀(28동) 개관식 개최
관허 코스모스홀(28동) 개관식 개최 지난 6월 27일 화요일 오후 2시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28동에서 <관허 코스모스홀> 개관을 기념하고 축하하는…
백승학 연구원 (대학원생), 국제 중력파 워크샵에서 최우수 포스터상 수상
우리 전공 대학원생 백승학 연구원이 국제 중력파 워크샵에서 최우수 포스터상을 수상하였다. 지난 2022년 12월 5일부터 9일, 호주 멜버른에서 OzGrav (ARC…
이명균 교수 연구진,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으로 43억 광년 거리에 있는 은하단에서 거대한 구상성단계 발견
배장호 대학원생과 이명균 교수는 시카고 대학의 장인성 박사와 함께,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그림 1)에 설치된 적외선카메라로 관측한 자료를 분석하여, 43억 광년…
故홍승수 명예교수님 강의록 서울대학교 기록관 보존
故 홍승수 명예교수님 강의록(7권)이 서울대학교 기록관에 보존되어 있습니다. – Interstellar Medium 성간물질 Ⅰ – Solar System Astronomy…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천문학 전공 후원 안내
우주에 대한 인류의 근원적 질문에 답을 찾는 천문학은 최첨단의 학문이면서 가장 오래된 학문이기도 합니다. 세계적인 연구를 수행하면서 한국 천문학을 이끌어갈 인재를 양성하고, 다양한 대중 과학 활동을 통해 여러분과 함께 우주의 비밀을 공유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후원과 큰 힘이 필요합니다.
Play Video
- 2023-09-22
- 2023-09-19
- 2023-09-19
- 2023-09-18
- 2023-09-15
14
- 2023-12-14
- 16:00
- ~18:00
- Astronomy Seminar Room (Building 19, Room 212)
07
- 2023-12-07
- 16:00
- ~18:00
- Astronomy Seminar Room (Building 19, Room 212)
30
- 2023-11-30
- 16:00
- ~18:00
- Astronomy Seminar Room (Building 19, Room 212)
23
- 2023-11-23
- 16:00
- ~18:00
- Astronomy Seminar Room (Building 19, Room 212)
- 18
- 2023.08
- 2022.04.06
- 2021.06.29
- 2019.10.07
- 2019.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