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tal 83건

  • 새소식 박사과정 김민규 학생, 2016학년도 2학기 최우수박사학위논문상 수상자 선정

    2016학년도 2학기 최우수박사학위논문상 수상자가 선정되었습니다. 2월 24일(금) 자연과학대학 500동 1층 목암홀에서 최우수박사학위논문상 시상식이 진행되었으며, 우리 전공에서는 김민규 학생이 수상하였습니다.     (오른쪽에서 세번째) 김민규 박사 졸업생     2016학년도 2학기 최우수박사학위논문상 수상자 선정       학부(과) 성명 지도교수 수리과학부 도성주 강명주 통계학과 한경희 박병욱 물리‧천문학부(물리) 서상원 신용일 물리‧천문학부(천문) 김민규 이형목 화학부 김승효 홍순혁 생명과학부 민수홍 정종경 지구환경과학부 박균도 남성현 생물물리및화학생물학과 차형래 전헌수 뇌인지과학과 안재롱 이인아 계 9명  

    2017-03-07

    Read More
  • 연구성과 박금숙 박사과정, 고속 성간운의 충돌로 형성된 거대 중성수소 수퍼쉘 발견, AAS Nova에 최근 논문 중 가장 주목할 만한 논문으로 소개

    박금숙 박사과정, 고속 성간운의 충돌로 형성된 거대 중성수소 수퍼쉘 발견 AAS Nova에 최근 논문 중 가장 주목할 만한 논문으로 소개         물리천문학부 박금숙 박사과정 (제1저자) 물리천문학부 구본철 교수 (지도교수, 교신저자)      박금숙 학생은 은하의 바깥쪽에서 고속 성간운(high velocity cloud)의 충돌로 생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거대한 중성수소 수퍼쉘(HI supershell)을 발견하였다(아래 그림).   발견된 고속 성간운-수퍼쉘 시스템은 수퍼쉘이 초신성 폭발 이외에 고속 성간운의 충돌로도 생성될 수 있음을 보여주며, 한편으로는 고속 성간운이 은하의 헤일로를 통과하여 은하 원반에 충돌함으로써 은하 기체에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예로서 수퍼쉘과 고속 성간운 연구에 중요한 천체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연구 결과는 Astrophysical Journal Letter 8월호에 게재되었으며, AAS(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Nova에 최근 논문 중 가장 주목할 만한 논문으로 소개되었다. 더불어, 해외 과학전문 잡지 New Scientist 및 대중 천문 잡지 Sky and Telescope 등에 소개되었다.          그림 1. 중성수소 수퍼쉘 GS040.2+00.6-70의 HI 21-cm 이미지. 검정색에서 흰색으로 갈수록  중성 수소의 양이 증가한다. 붉은 등고선은 고속 성간운의 전체 모습을 보여준다.     논문명: Park, G., Koo, B.-C., Kang, J.-h., et al. 2016, “A High-Velocity Cloud Impact Forming a Supershell in the Milky Way”, ApJL, 827, L27 http://iopscience.iop.org/article/10.3847/2041-8205/827/2/L27 (astroph: http://adsabs.harvard.edu/abs/2016arXiv160707699P)     ▣ AAS(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Nova: http://aasnova.org/2016/08/19/a-high-velocity-collision-with-our-galaxys-disk/   ▣ New Scientist: ​https://www.newscientist.com/article/2100157-small-gas-cloud-caught-blowing-a-huge-bubble-in-the-milky-way/​  ▣ Sky and Telescope: ​​http://www.skyandtelescope.com/astronomy-news/milky-way/cloud-punches-hole-milky-way-0508201623/

    2016-08-22

    Read More
  • 새소식 임명신 교수, 제26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 수상

    물리천문학부 임명신 교수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임명신 교수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회장 이부섭)에서 주관하는 '제26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다.   과학기술우수논문상은 1991년에 제정돼 국내 과학기술과 관련된 384개의 학술단체와 학회로부터 추천된 논문 중에서 우수 논문을 선정하여 수여하는 것으로 국내 과학기술분야의 최고의 권위와 명예를 자랑하는 상이다.   임명신 교수의 이번 수상은 지난해 한국천문학회지(JKAS)에 게재 된 'LEE Lee Sang Gak Telescope (LSGT): A Remotely Operated Robotic Telescope for Education and Research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가 우수논문상에 선정되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시상식은 2016년 7월 13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COEX)에서 열리는 '과총 창립50주년 기념식 세계과학기술인대회'에서 이루어졌다.

    2016-07-29

    Read More
  • 연구성과 오정환 박사과정생, 2016 한국천문학회 봄 학술대회 샛별상 수상

       물리천문학부 천문학전공 박사과정 오정환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천문학전공 박사과정 오정환 학생(지도교수: Sascha Trippe) 이 2016 한국천문학회 봄 학술대회 샛별상 수상자로 선정되었습니다. 샛별상은 천문학회지(JKAS)에 발표된 논문들 중에서 학생이 주저자인 논문들을 심사하여 선정됩니다. 본 회에 선정된 논문은 활동성은하핵(AGN)에 대한 전파 관측 연구로, 한일 공동 전파 간섭계 KaVA (KVN and VERA Array)  를 이용하여 AGN jet의 motion을 추적, 2개의 천체에서 나온 jet가 광속의 98% 의 속도로 움직이는 것을 보였습니다.   이 논문은 한국천문학회에서 발간하는 천문학회지(JKAS)에 게재되었습니다. Oh, J., et al., 2015, "PAGAN II: THE EVOLUTION OF AGN JETS ON SUB-PARSEC SCALES", JKAS, 48, 299   샛별상은 2016년 4월 13일 부산에서 열리는 한국천문학회 봄 학술대회에서 수상될 예정입니다.

    2016-04-12

    Read More
  • 새소식 임명신 교수, 제2회 자연과학대학 우수강의상 수상

      김성근 자연과학대학 학장(왼쪽)과 임명신 교수(오른쪽)     물리천문학부 천문학전공 임명신 교수가 제2회 자연과학대학 우수강의상 을 수상하였습니다.   우수강의상은 전달력이 뛰어난 훌륭한 강의를 통해 수강생들의 학구열을 고취시키고 학업 성취도를 향상시킨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교원에게 수여 됩니다.   시상식은 지난 3월 25일 상산수리과학관 대강당에서 열렸으며, 총 10명의 수상자가 선정되었습니다.     학부(과) 직급 성명 수리과학부 부교수 국웅 통계학과 교수 조신섭 물리∙천문학부(물리학 전공) 교수 최무영 물리∙천문학부(천문학 전공) 교수 임명신 화학부 교수 박승범 부교수 최태림 생명과학부 교수 안광석 교수 이건수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백종진 조교수 김영희

    2016-04-12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