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소식
Total 83건
-
연구성과 이명균 교수 연구진, 우리 은하에서 새로운 구상 성단 발견
우리 은하에서 새로운 구상 성단 발견 (Discovery of Two New Globular Clusters in the Milky Way) 물리천문학부 이명균 교수 류진혁 박사 류진혁 박사과정 대학원생과 이명균 교수는 우리 은하에서 새로운 구상 성단 두 개를 발견하고 RLGC 1과 RLGC 2 (류진혁/이명균 구상 성단 1번과 2번)로 명명했다. 구상 성단은 수십만 개의 별이 공처럼 둥글게 모여 있는 천체이다. 구상 성단은 평균 나이가 120억년으로서, 우주에서 나이가 가장 많은 천체에 속하므로 우주 초기의 비밀을 이야기해준다. 구상 성단은 별보다 크고 밝아서 소형 망원경으로도 잘 보이므로, 비교적 발견하기 쉽다. 우리 은하에서는 17세기에 구상 성단이 처음으로 발견되었고, 최근까지 200여 개가 발견되었다. 그러나 우리 은하 전체에 있는 구상 성단의 총 개수는 아직 정확히 알려져있지 않다, 왜냐하면 은하수 뒤편에 있는 구상 성단의 수를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은하수에는 성간 먼지가 많아서 가시광은 통과하지 못하므로 우리는 은하수 뒤편을 볼 수 없다. 그러므로 은하수 뒤편에 있는 구상 성단은 발견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명균 교수 연구진은 적외선 빅 데이터 (WISE, 2MASS, UKIDSS)를 분석하여 은하수 뒤편에 있는 새로운 구상 성단 두 개를 발견했다 (그림 1). 적외선은 가시광에 비해 성간 먼지의 영향을 적게 받으므로, 적외선 망원경을 사용하면 은하수 뒤편의 모습을 잘 볼 수 있다. 우주 망원경과 지상 망원경으로 하늘 전체를 관측하여 얻은 적외선 자료를 정교한 방법으로 분석하여, 은하수에 숨어 있던 구상 성단을 발견할 수 있었다. 발견한 구상 성단들의 거리를 측정한 결과 각각 9.4만, 5.2만 광년으로서, 이들이 은하수 뒤쪽으로 멀리 떨어져 있음을 확인했다 (그림 2). 또한 이 성단들의 별에 있는 무거운 원소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태양의 100분의 1정도임을 알아냈다. 이는 이 성단들이 우주 초기에 태어났음을 보여준다. 은하수 뒤편에는 아직 발견되지 않은 구상성단이 다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여러분이 이 성단들을 발견하고, 발견의 즐거움을 느끼고 싶지는 않은가? 이 결과는 Astrophysical Journal Letters (천체물리학저널 레터) 2018년 8월 20일자 (863, L38)에 발표되었다. (Discovery of Two New Globular Clusters in the Milky Way, by Jinhyuk Ryu and Myung Gyoon Lee, ApJL, ). (그림1) 왼쪽 사진은 기존에 알려진 구상성단(M9)의 광학 영상(허블 우주망원경 자료) (출처: NASA) 오른쪽 두 사진은 이명균 교수 연구진이 발견한 새로운 구상 성단(RLGC 1, RLGC 2)의 적외선 영상 (출처: 2MASS, UKIDSS). (그림 2) 우리 은하의 상상도에 표시한 구상 성단의 위치. 녹색 점은 기존에 알려진 구상 성단을 보여주며, 별표가 새로 발견된 구상 성단의 위치를 보여준다. (용어 설명) 구상 성단 (globular clusters) 수십만 개의 별이 축구공처럼 둥글게 모여 있으며, 크기는 40광년이나 되는 성단이다. 구상 성단은 평균 나이가 120억년으로서 우주에서 나이가 가장 많은 천체이므로, 우주의 나이를 측정하거나 우주 초기의 진화 상태를 연구할 때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구상 성단은 일반적으로 은하에서 발견된다. 우리 은하는 약200여 개의 구상 성단을 거느리고 있다. 구상 성단은 은하의 중심부에서 바깥까지 널리 분포한다. 우리 은하에서 구상 성단은 대부분 13만 광년 안에 분포하며, 가장 멀리 있는 구상 성단은 30만 광년까지 떨어져 있다. 은하 (galaxies) 수백억 내지 수천억 개의 별이 모여 있는 거대한 천체이다. 태양도 우리 은하에 있는 별 중의 하나이다. 은하는 우주를 이루는 기본 단위이다. 은하는 소용돌이처럼 생긴 나선 은하, 럭비공 같은 타원 은하 등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2018-09-05
Read More -
새소식 김대원 박사과정생, 2018 한국천문학회 봄 학술대회 샛별상 수상
물리천문학부 천문학전공 박사과정 김대원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천문학전공 박사과정 김대원 학생(지도교수: Sascha Trippe) 이 2018 한국천문학회 봄 학술대회 샛별상 수상자로 선정되었습니다. 샛별상은 천문학회지(JKAS)에 발표된 논문들 중에서 학생이 주저자인 논문들을 심사하여 선정됩니다. 본 회에 선정된 논문은 활동성은하핵 (Active Galactic Nuclei; AGN)인 BL Lacertae에 대한 전파 관측연구로, AGN의 주요 특징 중 하나인 제트 (Jet)의 특성과 강한 감마레이 방출에 대해 연구하였습니다. 논문은 최장기선간섭계 (Very Long Baseline Interferometer)인 KVN과 VLBA의 데이터를 통해 BL Lacertae의 Jet안에 Standing recollimation shock의 존재를 제안하고 Orphan gamma-ray flare에 대하여 토의하였습니다. 이 논문은 한국천문학회에서 발간하는 천문학회지(JKAS)에 게재되었습니다. Kim, Dae-Won; Trippe, Sascha; Lee, Sang-Sung; Park, Jong-Ho; Kim, Jae-Young; Algaba, Juan-Carlos, et al., 2018, "The Millimeter-Radio Emission of BL Lacertae During Two gamma-ray Outbursts", Journal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vol. 50, no. 6, pp. 167-178
2018-05-29
Read More -
새소식 우종학 교수, 2018년 제1차 자연과학대학 연구상 수상
(왼쪽)자연과학대학 김성근 학장, (오른쪽) 우종학 교수 물리천문학부 천문학전공 우종학 교수가 2018년 제1차 자연과학대학 연구상 을 수상하였습니다. 자연과학대학 연구상은 기초과학분야의 연구활동을 진작시키고 본 대학의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해당부문에 탁월한 업적을 이룩한 교원에게 수여 됩니다. 시상식은 지난 3월 9일 상산수리과학관 대강당에서 열렸으며, 총 3명의 수상자가 선정되었습니다. 우종학 교수는 2009년 본교에 부임한 이후 블랙홀과 은하 질량의 상관관계 및 공동 진화, 활동성 은하핵의 별 형성과 기체의 분출 등에 대한 연구를 x- 선, 가시광선, 적외선 등으로 관측 연구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출판한 총 97 편의 논문의 총 피인용수가 4835 회, h-ind ex 는 36 으로, 활동성은하핵의 관측 연구 부문에서 이미 세계 정상급 연구자 중의 한 명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 2018년 제1차 자연과학대학 연구상 수상자 > 소속학과(부) 직급 성명 수리과학부 부교수 이훈희 물리천문학부(천문학전공) 부교수 우종학 생명과학부 부교수 이지영
2018-03-15
Read More -
새소식 Masateru Ishiguro 교수, 제6회 자연과학대학 우수강의상 수상
(왼쪽)자연과학대학 김성근 학장, (오른쪽) Masateru Ishiguro 교수 물리천문학부 천문학전공 Masateru Ishgiuro 교수가 제6회 자연과학대학 우수강의상 을 수상하였습니다. 우수강의상은 전달력이 뛰어난 훌륭한 강의를 통해 수강생들의 학구열을 고취시키고 학업 성취도를 향상시킨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교원에게 수여 됩니다. 시상식은 지난 3월 9일 상산수리과학관 대강당에서 열렸으며, 총 11명의 수상자가 선정되었습니다. 소속학부(과) 직급 성명 수리과학부 교수 계승혁 교수 권재훈 통계학과 강의부교수 정상아 물리∙천문학부(물리학전공) 부교수 박철환 강의조교수 문송기 물리∙천문학부(천문학전공) 부교수 Masateru Ishiguro 화학부 교수 김병문 부교수 David Yu-Kai Chen 생명과학부 조교수 김진홍 지구환경과학부 조교수 남성현 조교수 심민섭
2018-03-15
Read More -
새소식 김도형 박사과정 졸업생, 2017학년도 2학기 최우수박사학위논문상 수상자 선정
2017학년도 2학기 자연과학대학 최우수박사학위논문상 수상자가 선정되었습니다. 우리 전공에서는 김도형 학생(지도교수: 임명신)이 수상하였으며, 시상식은 지난 2월 26일(월) 자연과학대학 교수회의실에서 진행되었습니다. (오른쪽에서 두번째) 김도형 박사 졸업생 2017학년도 2학기 최우수박사학위논문상 수상자 선정 학부(과) 성명 지도교수 수리과학부 오제한 변순식 통계학과 이영선 이재용 물리천문학부(물리) 최영빈 이규철 물리천문학부(천문) 김도형 임명신 화학부 이영준 박승범 생명과학부 김동하 백성희 지구환경과학부 이상무 손병주 생물물리및화학생물학과 박소영 석영재 뇌인지과학과 신원교 권준수 협동과정 생물정보학전공 이성영 박태성 계 10명
2018-03-14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