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vious slide
Next slide
Previous slide
Next slide
천문학 전공 소식
우종학 교수 연구팀, 중간질량 블랙홀 탐색으로 블랙홀 생성의 기원을 밝히다.
중간질량 블랙홀 탐색으로 블랙홀 생성의 기원을 밝히다. □ 연구필요성 블랙홀의 생성 기원을 밝히는 일은 블랙홀 연구의 매우 중요한 과제다.…
윤성철 교수, 2024년 자연과학대학 교육상 수상
(왼쪽) 자연과학대학 유재준 학장, (오른쪽) 윤성철 교수 수상자 단체사진 물리천문학부 천문학전공 윤성철 교수가 2024년 '자연과학대학 교육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자연과학대학 교육상’은 자연과학대학…
이정은 교수팀, 우주에서 화학실험실을 발견하다.
이정은 교수팀, 우주에서 화학실험실을 발견하다. – 간헐적 폭식 중인 태아별 B335 – □ 연구필요성 별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생명의 기원이 되는 유기분자가…
윤혜인 박사, 2024년 한국여성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미래인재상 수상
[ 서울대학교 램프(LAMP) 사업단 박사후 연구원 윤혜인 박사 ] 우리 전공 윤혜인 박사가 2024년 한국여성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미래인재상을 수상하였습니다. 한국여성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는 한국과학기술계를 이끌어…
이가인 대학원생, 엡실룬(Epsiloon)에 논문 소개
물리천문학부 천문학전공 박사과정 이가인 (제1저자) 물리천문학부 황호성 교수 (교신저자/지도교수) 우리 전공의 이가인 대학원생(지도교수 황호성, 교신저자)이 제 1저자로 쓴 최신 논문이…
우종학 교수 연구팀, 빛의 메아리 효과로 블랙홀 엔진을 분해하다.
빛의 메아리 효과로 블랙홀 엔진을 분해하다. – 가스방출선 영역의 크기와 블랙홀 광도의 상관관계를 새롭게 밝히다. – □ 연구필요성 블랙홀의 존재는 이미…
임상혁 대학원생, AAS NOVA에 논문 소개
물리천문학부 천문학전공 박사과정 임상혁 (제1저자) 물리천문학부 황호성 교수 (교신저자/지도교수) 우리 전공의 임상혁 대학원생(지도교수 황호성, 교신저자)이 제 1저자로…
황호성 교수, 2024년 제2차 자연과학대학 연구상 수상
물리천문학부 황호성 교수 물리천문학부 천문학전공 황호성 교수가 < 2024년 제2차 자연과학대학 연구상 > 을 수상하였습니다. 자연과학대학 연구상은 기초과학분야의 연구활동을 진작시키고 본 대학의 국제…
이형목 명예교수, 대한민국학술원 신임회원 선출
물리천문학부(천문학전공) 이형목 명예교수 우리전공 이형목 명예교수가 2024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신임회원"으로 선출되었습니다. 대한민국학술원은 지난 7월 12일 서울대학교 이형목 명예교수 등 5명을 신임…
우종학 교수 연구팀, 중간질량 블랙홀 탐색으로 블랙홀 생성의 기원을 밝히다.
중간질량 블랙홀 탐색으로 블랙홀 생성의 기원을 밝히다. □ 연구필요성 블랙홀의 생성 기원을 밝히는 일은 블랙홀 연구의 매우 중요한 과제다.…
윤성철 교수, 2024년 자연과학대학 교육상 수상
(왼쪽) 자연과학대학 유재준 학장, (오른쪽) 윤성철 교수 수상자 단체사진 물리천문학부 천문학전공 윤성철 교수가 2024년 '자연과학대학 교육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자연과학대학 교육상’은 자연과학대학…
이정은 교수팀, 우주에서 화학실험실을 발견하다.
이정은 교수팀, 우주에서 화학실험실을 발견하다. – 간헐적 폭식 중인 태아별 B335 – □ 연구필요성 별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생명의 기원이 되는 유기분자가…
윤혜인 박사, 2024년 한국여성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미래인재상 수상
[ 서울대학교 램프(LAMP) 사업단 박사후 연구원 윤혜인 박사 ] 우리 전공 윤혜인 박사가 2024년 한국여성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미래인재상을 수상하였습니다. 한국여성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는 한국과학기술계를 이끌어…
이가인 대학원생, 엡실룬(Epsiloon)에 논문 소개
물리천문학부 천문학전공 박사과정 이가인 (제1저자) 물리천문학부 황호성 교수 (교신저자/지도교수) 우리 전공의 이가인 대학원생(지도교수 황호성, 교신저자)이 제 1저자로 쓴 최신 논문이…
우종학 교수 연구팀, 빛의 메아리 효과로 블랙홀 엔진을 분해하다.
빛의 메아리 효과로 블랙홀 엔진을 분해하다. – 가스방출선 영역의 크기와 블랙홀 광도의 상관관계를 새롭게 밝히다. – □ 연구필요성 블랙홀의 존재는 이미…
임상혁 대학원생, AAS NOVA에 논문 소개
물리천문학부 천문학전공 박사과정 임상혁 (제1저자) 물리천문학부 황호성 교수 (교신저자/지도교수) 우리 전공의 임상혁 대학원생(지도교수 황호성, 교신저자)이 제 1저자로…
황호성 교수, 2024년 제2차 자연과학대학 연구상 수상
물리천문학부 황호성 교수 물리천문학부 천문학전공 황호성 교수가 < 2024년 제2차 자연과학대학 연구상 > 을 수상하였습니다. 자연과학대학 연구상은 기초과학분야의 연구활동을 진작시키고 본 대학의 국제…
이형목 명예교수, 대한민국학술원 신임회원 선출
물리천문학부(천문학전공) 이형목 명예교수 우리전공 이형목 명예교수가 2024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신임회원"으로 선출되었습니다. 대한민국학술원은 지난 7월 12일 서울대학교 이형목 명예교수 등 5명을 신임…
우종학 교수 연구팀, 중간질량 블랙홀 탐색으로 블랙홀 생성의 기원을 밝히다.
중간질량 블랙홀 탐색으로 블랙홀 생성의 기원을 밝히다. □ 연구필요성 블랙홀의 생성 기원을 밝히는 일은 블랙홀 연구의 매우 중요한 과제다.…
윤성철 교수, 2024년 자연과학대학 교육상 수상
(왼쪽) 자연과학대학 유재준 학장, (오른쪽) 윤성철 교수 수상자 단체사진 물리천문학부 천문학전공 윤성철 교수가 2024년 '자연과학대학 교육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자연과학대학 교육상’은 자연과학대학…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천문학 전공 후원 안내
우주에 대한 인류의 근원적 질문에 답을 찾는 천문학은 최첨단의 학문이면서 가장 오래된 학문이기도 합니다. 세계적인 연구를 수행하면서 한국 천문학을 이끌어갈 인재를 양성하고, 다양한 대중 과학 활동을 통해 여러분과 함께 우주의 비밀을 공유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후원과 큰 힘이 필요합니다.
Astronomy Colloquium
12
- 2025-06-12
- 16:00
- ~17:00
- Bldg. 19, Room 210
05
- 2025-06-05
- 16:00
- ~17:00
- Bldg. 19, Room 210
29
- 2025-05-29
- 16:00
- ~17:00
- Bldg. 19, Room 210
22
- 2025-05-22
- 16:00
- ~17:00
- Bldg. 19, Room 210